니기

반응형

 

 

조선시대에는 신분제도라는 사회이 신분을 구분하는 서열을 나누는 제도가 있다. 옛 서양과 동양에도 대부분 있던 신분제도는 조선시대에도 있으며 조선에 신분제도는 고려에서 부터 시작하여 갑오개혁의 계기로 1894년 폐지 하였던 조선에 신분제도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시대 신분제도 구조 알아보기

 

 

 

조선 신분제도 구조는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의 구조는 양인과 천인으로 되있으며 양인은 높은사람을 말하고 천인은 낮은 사람을 말한다. 천인은 노비를 말하며 노비 위부터는 양인이다. 

 

피지배층과 지배층이 있었으며 지배층은 쉽게 말해 지배를 하는 높은사람을 말하고 피지배층은 지배 당하는 쪽이라 쉽게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신분제도 구조를 쉽게 보면 노비 > 상민 > 중인 > 양반 이며 노비, 상민은 피지배층이고 중인 양반은 지배층이다.

 

그리고 여기서 알 수 있는것은 대부분의 조선시대 국민들에 신분은 상민 이였다고 한다. 그리고 상민은 대부분 농사를 하는 우리가 아는 어려운형편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조선시대 신분제도 정리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구조를 쉽게 정리를 하면 이러하다. 

 

 

양반 : 조선의 나라 관련 관직이나 지배자층에 해당하는 신분이며 귀족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사회적 지위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다.

 

중인 : 상민보다 높은 지배층에 있으며 나라관련 관직을 하였지만 높은 관직까지는 못한다. 그래서 주로 행정쪽에 일을 하였으며 피지배층을 잡는 사회적 지위 중간에 있는 사람이다.

 

상민 : 상민은 대부분 농사를 짓는 농민을 말하며 조선시대 국민에 대부분을 농민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상민들은 생활고에 시달려 많은 불만 있던 사회적 지위 낮은곳에 있는 사람이다.

 

천민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조선시대의 노비이며 이들은 사람이 아닌 동물로 보며 양반이나 중인에 재산중 하나였다. 사회적 지위에서 없는 존재이며 천대 받으며 무시받는 계층이다. 천민은 노비말고도 백정 광대 등이 있다. 백정은 노비보다 더 한 천대를 받았다고 한다.

 

 

 

 

 

이상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